Linux 사용자삭제,그룹생성/수정/삭제/추가/변경
3)사용자 삭제
문법 : userdel [-r] <UID계정>
옵션 r 생략시 계정만 삭제
삭제_1)
# userdel user6
# tail -13 /etc/passwd [UID] [GID : 동일한 그룹계정 삭제]
# ls -l /export/home/ /var/spool/mail/
옵션을 사용하지 않아서 user6계정만 삭제되었고 집 및 기록파일은 남아있다.
추후 계정복구 할때 사용될수있음.
삭제_2)
# userdel -r user1
userdel: user1 그룹은 다른 사용자의 주요 그룹이므로 제거하지 않습니다.
user1:x:1001:1001::/export/home/user1:/bin/bash
user2:x:1002:1001:user2:/export/home/user2:/bin/ksh
user2가 user1그룹을 주요그룹으로 이용중이라 그룹계정 user1은 남아있음.
**그룹 생성 / 수정 / 삭제
그룹 생성
groupadd [-g] <GID식별값> <GID계정명>
# groupadd s1 : s1그룹생성
# gruopadd -g 1200 s2 : s2의 그룹을 gid 1200으로 생성
# tail -5 /etc/group
그룹 수정
groupmod
# groupmod -g 1100 s2 : s2 그룹의 gid를 1100으로 수정
그룹 삭제
#groupdel
주요그룹일때 삭제 못함
**uid,gid 소속 그룹확인 명령어!
id <UID계정>
# id user1
**그룹 추가 / 변경
그룹추가
usermod -G <추가할 그룹> <UID계정>
원래 사용 그룹 + 그룹추가하는 것임.
그룹변경 : usermod -g <변경그룹> <UID>
***실습***
사용자 총 실습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Test)
USER : testuser
UID : 1300
GID : tg
그룹별도추가 : g
SHELL : /bin/sh
$HOME : /hosting
SKEL : /backup/skelsam
자동 생성될 디렉터리: public_html/
자동 생성될 파일 : .sam -> 단, 내용은 userid is testuser 라는 내용 입력해서 저장
useradd 명령어로 생성(/etc/default/useradd 환경 설정은 사용 X)
# groupadd tg
# groupadd g
# mkdir -p /hosting/ /backup/skelsam/public_html/
# ls -al /backup/skelsam/
# cd /etc/skel/
# cp -r .b* .k* .m* /backup/skelsam/
# cat > /backup/skelsam/ .sam
userid is testuser
ctrl + d 해서 저장
# tail -2 /etc/group
#useradd - u 1300 -g tg -s /bin/sh -mk /backup/skelsam -d /hosting/testuser testuser
#id testuser
#usermod -G g tsetuser

완성된모습