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linux (4)
Programming Insights

3)사용자 삭제 문법 : userdel [-r] 옵션 r 생략시 계정만 삭제 삭제_1) # userdel user6 # tail -13 /etc/passwd [UID] [GID : 동일한 그룹계정 삭제] # ls -l /export/home/ /var/spool/mail/ 옵션을 사용하지 않아서 user6계정만 삭제되었고 집 및 기록파일은 남아있다. 추후 계정복구 할때 사용될수있음. 삭제_2) # userdel -r user1 userdel: user1 그룹은 다른 사용자의 주요 그룹이므로 제거하지 않습니다. user1:x:1001:1001::/export/home/user1:/bin/bash user2:x:1002:1001:user2:/export/home/user2:/bin/ksh us..

실습>> /usertest/test(사용자)/public(자동으로생성될디렉터리)/ 1)/etc/skel/을 이용해서 생성 # ls -al /etc/skel/ #skel/안 확인 # mkdir /usertest/ /etc/skel/public/ #/usertest/와 자동으로생성될 /etc/skel/public/을 생성 # ls -ld /usertest/; ls -l /etc/skel/ #/usertest/디렉터리생성확인, /etc/skel/ 목록에 public 생성확인 # useradd -d /usertest/test test # -d /usertest/test(홈디렉터리설정) 2)사용자 지정 스켈 디렉터리를 이용해서 생성 [단, test사용자를 잘못 만들시 test1,test2,...] ..

**사용자 생성,수정,삭제 사용자와 관련된 파일 /etc/passwd (사용자계정정보가 담긴 파일) /etc/shadow (사용자계정비밀번호와 관련된 파일) /etc/default/useradd (사용자계정이 생성될 기본 환경 설저 파일) /etc/group (그룹계정정보가 담긴 파일 : 그룹권한과 관련,로그인X)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# cat /etc/passwd | grep root |nl 1 root:x:0:0:root:/root:/bin/ksh # cat /etc/passwd | grep samadal samadal:x:1000:1000:samadal:/home..

리눅스설치시 *swap : 가상메모리 [숨겨진메모리] [기계가 필요할때 사용하는 용량임] 리눅스 설치시 swap을 잡는 이유 -윈도우는 설치시 자동으로 가상메모리가 잡힌다. -리눅스는 자동으로 잡히지않기에 오버헤드 발생을 막기위해. 20GB 용량중 만약 swap을 잡지않고 1G밖에 남지않은 상황에 필요로하는 용량이 2G일때 오버헤드 발생 ※오버헤드 발생시 : 물리적하드디스크 내부고장 **리눅스창 - 터미널열기( 리눅스의 터미널 = 윈도우의 cmd창) clear입력시 지워지는것처럼 보임, 하지만 위로올리면 자료있음 윈도우 cmd창에서는 cls 명령문(페이지 다지워짐)